사이트 내 전체검색

[기사]“의원정수 확대 불가피…특권 폐지해 국민 거부감 줄여야” > 뉴스 속의 평화당

  • 민주평화당
    • 당대표 인사말
    • 정강정책
    • 당헌
    • 당규
    • 윤리규범
    • 로고
    • 조직기구표
    • 당원가입
    • 찾아오시는 길
  • 사람들
    • 중앙당
    • 국회의원
    • 시도당
  • 소식
    • 일정
    • 공지사항
    • 논평·브리핑
    • 모두발언·인사말
    • 보도자료
    • 국감자료실
    • 시도당
    • 위원회
    • 포토갤러리
    • 영상갤러리
    • 인사말
  • 소통
    • 뉴스 속의 평화당
    • 민심의 창
    • 5.18 가짜뉴스 신고센터
  • 뉴스 속의 평화당
  • 민심의 창
  • 5.18 가짜뉴스 신고센터
  • Home
  • 소통
  • 뉴스를 통해 본 평화당

뉴스 속의 평화당

[기사]“의원정수 확대 불가피…특권 폐지해 국민 거부감 줄여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09회 작성일 2019-05-03

본문

[기사]“의원정수 확대 불가피…특권 폐지해 국민 거부감 줄여야”


onebyone.gif?action_id=5b9c4e21136874f96a75b944e3544cc‘선거제 개혁’ 방향은
하승수 대표, 330석으로 확대 주장
“연봉삭감·보좌진 축소 등 필요해”
민주당 “한국당과 타협 여지 키워야”
미래당 의원 “의원수 논의 시기상조”
​
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선거제도개혁 패스트트랙 이후 전망과 과제' 세미나에서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오른쪽 두번째)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패스트트랙(신속처리 대상 안건)에 오른 선거제 개편안의 원만한 처리를 위해선 여야 4당과 자유한국당의 합의가 바람직하며, 이 과정에서 의원정수 확대와 국회의원 특권 폐지 등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는 주문이 정치권 안팎에서 나온다.

2일 민주평화당이 ‘패스트트랙 이후 전망과 과제’라는 주제로 마련한 국회 토론회에서 하승수 비례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는 “패스트트랙 지정은 협상과 토론의 시한을 정해두는 효과를 갖는 것이지, 패스트트랙에 오른 법안이 그대로 본회의를 통과된다고 봐선 안 된다”며 한국당과의 협상을 통한 법안 수정 가능성을 열어뒀다. 하 대표는 그러나 한국당과 선거법 협상에 나서더라도 “기준점은 지난해 12월15일 (한국당을 포함해) 여야 5당 원내대표가 서명한 합의문이 돼야 한다”고 못박았다. 지금까지 선거제 개편과 관련해 주요 정당 사이에 합의된 것은 당시 5당 원내대표 합의문이 유일하다는 게 근거다. 당시 합의문에는 “연동형 비례제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의원정수는 10% 이내에서 확대 여부를 검토”한다는 문구가 담겼다.

한국당을 포함한 여야가 ‘50% 연동형’의 틀을 깨지 않으면서 선거제 개편안에 합의하려면 의원정수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진단도 나왔다. 지역구 의석수를 현행 253석에서 28석 줄어든 225석으로 조정한 패스트트랙 선거법안은 통폐합될 지역구 현역의원과 지역 유권자들의 반발을 부를 수밖에 없고, 인구가 적은 농촌 지역에서는 ‘대표성 약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 대표는 이해당사자 집단의 저항을 줄이고 원만한 합의 처리를 위해 “의원정수를 10% 늘려 330석으로 확대하는 대신 연봉 삭감, 보좌진 규모 축소, 투명한 정보공개, 예산낭비 근절 등 강력한 국회의원 특권 폐지 법안을 공직선거법과 동시에 통과시키자”고 제안했다. 의원정수를 330석으로 늘려 지역구 의석 감축 폭을 줄이되, 의원 특권 폐지를 국민 앞에 강력하게 천명해 의원 수 증가에 대한 국민 거부감을 줄이자는 것이다.의원 수 확대와 특권 폐지 논의는 선거제 개편안에 합의한 여야 4당 내부에서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핵심 당직자는 “한국당이 협상에 참여하면 선거법 처리에 시간은 더 걸리겠지만, 4당이 합의한 50% 연동형에 의원정수를 10% 정도 늘려서라도 타협의 여지를 키워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구 의석 변동을 최소화하면서 연동형 비례제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의원정수 확대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다는 인식을 내비친 것이다.하지만 정치권 일각에서는 패스트트랙 지정에 반발해 장외투쟁에 돌입한 한국당의 태도로 볼 때 이런 논의는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나온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소속 민주당 한 의원은 “가장 시급한 것은 한국당이 협상 테이블에 앉도록 하는 것이다. 협상이 시작되더라도 논의가 어떻게 흘러갈지 현재로선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바른미래당의 한 의원도 “지금 시급한 건 선거제 개편을 위해 여야 5당이 모두 참여하는 협상판을 만드는 것이다. 협상이나 법안 수정 방향을 논의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892463.html#csidxa865cb59de21efe8a5891f06a78b509 onebyone.gif?action_id=a865cb59de21efe8a5891f06a78b509

  • 목록
  • 이전글[기사] 유성엽 “일하는 국회의원들만 월급받도록 국회법 개정 추진” 19.05.28
  • 다음글[기사]전주 보궐선거 '귀중한 1승'..민주평화당 "새희망 봤다" 19.04.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기사]“의원정수 확대 불가피…특권 폐지해 국민 거부감 줄여야” > 뉴스 속의 평화당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4길 19 동우 국제빌딩 10층 민주평화당 중앙당
  • 팩스번호 : 02-784-2018
  • 대표메일 : mpeaceparty@gmail.com
  • 대표 비서실 02-788-3630
  • 공보국 02-788-3808
  • 총무국 02-784-3370
  • 전략기획홍보국 02-784-3390
  • 조직국 02-784-3330
  • 원내행정기획실 02-788-3631
  • 정책조정국 02-788-3632

Copyright © 2017 민주평화당. All Rights Reserved.